특정 지점을 바라보게 하기위한 각도를 구하는 메서드 공식
// 무비클립을 (targetx, targety)로 회전시키는 함수
MovieClip.prototype.rotateTo = function(targetx, targety){
var diffX = targetx - this._x;
var diffY = targety - this._y;
this._rotation = Math.atan2(diffY, diffX)*180/Math.PI;
};
_root.무비클립인스턴스.rotateTo(this._xmouse, this._ymouse);
'개발 > FLEX & AI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탄성을 갖고 움직이게 하는 플래시 함수 (0) | 2012.05.30 |
---|---|
두 지점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메서드 공식 (0) | 2012.05.30 |
BorderContainer image background 활용 (0) | 2011.08.24 |
FlashVars 사용법 (0) | 2011.08.24 |
flashBuilder 4.5 plug-in의 메뉴가 한글로 나올때 해결법 (0) | 2011.06.23 |
MySQL Table Schema 확인
##MySQL에서 테이블 생성 스크립트를 보고 싶을때 사용
show create table [table명]
##MySQL에서 DB에 생성된 모든 테이블을 보고 싶을때
show tables
like절 사용가능
show tables like '%tba_%'
[출처] [MySQL] Table Schema 보기|작성자 juner84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테이블 스페이스 관리 명령 (0) | 2014.04.02 |
---|---|
[ 오라클 ] 테이블 락 조회/ 해제 방법 (0) | 2013.04.23 |
mysql DB 백업 (0) | 2012.05.17 |
MySQL table 용량 확인 (0) | 2012.05.17 |
DB link 생성 (0) | 2012.05.17 |
mysql DB 백업
# mysqldump 사용법
mysqldump [옵션] -u root -p [DB이름] > [백업파일명].sql
[백업파일명].sql 파일을 열어보면 각각의 데이타베이스를 create 시키는부분과 각각의 데이타베이스마다 테이블을 create 시키는부분, 그리고 테이블에 데이터를 insert 시키는 부분들이 모두 있음
mysqldump 옵션(출처 :http://dev.mysql.com/doc/refman/5.1/en/mysqldump.html)
-A, --all-databases : 모든 DB를 덤프
--add-locks : 덤프 전에 lock 덤프 후에 unlock
--add-drop-table : 덤프이후에 출력물의 앞에 drop table명령 추가 복구할 때 사용키 위해서
-B, --databases : 여러 DB를 동시에 덤프 할 때 사용
-f, --force : 에러를 무시
-h, --host : 지정한 호스트의 데이터를 덤프
-t, --no-create-info : 데이터만 덤프
-d, --no-data : 데이터를 제외하고 스키마만 덤프
-p : 사용자의 암호를 지정
-P : 포트번호 지정
-u : 사용자명 지정
# DB 복구
mysql -u root -p [복구할 DB명] < [백업파일명].sql
※ 미리 DB를 만들어 두어야 함
복구시 가끔 한글이 깨지는 경우 존재 그럴땐 --default-character-set=euckr 옵션사용
mysql -u root -p --default-character-set=euckr [복구할 DB명] < [백업파일명].sql
[출처] [Mysql] mysqldump로 DB백업 받기|작성자 juner84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오라클 ] 테이블 락 조회/ 해제 방법 (0) | 2013.04.23 |
---|---|
MySQL Table Schema 확인 (0) | 2012.05.17 |
MySQL table 용량 확인 (0) | 2012.05.17 |
DB link 생성 (0) | 2012.05.17 |
index 생성 (0) | 2012.05.17 |
MySQL table 용량 확인
DB를 사용하다 보면 table별 용량 확인이 필요할 때가 있다.
mysql에서 meta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information_schema를 이용하면 된다.
이번 포스트에서는 table용량 확인을 위한 sql을 정리하기로 하자....
[DB 용량확인]
SELECT table_schema "Database Name",
SUM(data_length + index_length) / 1024 / 1024 "Size(MB)"
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
GROUP BY table_schema;
[table 용량확인]
SELECT
concat(table_schema,'.',table_name),
concat(round(table_rows/1000000,2),'M') rows,
concat(round(data_length/(1024*1024*1024),2),'G') DATA,
concat(round(index_length/(1024*1024*1024),2),'G') idx,
concat(round((data_length+index_length)/(1024*1024*1024),2),'G') total_size,
round(index_length/data_length,2) idxfrac
FROM information_schema.TABLES
where table_name = '테이블명' ;
[출처] [MySQL] database table용량 확인|작성자 juner84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Table Schema 확인 (0) | 2012.05.17 |
---|---|
mysql DB 백업 (0) | 2012.05.17 |
DB link 생성 (0) | 2012.05.17 |
index 생성 (0) | 2012.05.17 |
Oracle Hint (0) | 2012.05.17 |
DB link 생성
하나의 DB에서 다른 DB table 데이터가 필요할때 사용
DB Link
##create database link
CREATE [public] DATABASE LINK [dblink_name]
CONNECT TO [user_id]
IDENTIFIED BY password
USING '[SID]'
[PUBLIC] : 생성한 사용자만이 아닌 다른 모든 유저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
PUBLIC을 제외하고 생성하면 생성한 계정만 LINK를 사용할 수 있음
[dblink_name] : 생성하고자 하는 DB LINK명
[user_id] : 연결하고자 하는 서버의 오라클 계정
[password] : 해당 오라클 계정의 비밀번호
[sid] : 서버의 tnsnames.ora에 정의되어있는 서비스 명
[사용예제]
remote db 에 대한 커넥션스트링이 ccc 로 tnsnames.ora 파일에 만들어져 있고,
계정의 id/pw 가 각각 aaa, bbb 라고 할 때,
dblink를 아래와 같이 만든다.
CREATE PUBLIC DATABASE LINK 디비링크명
CONNECT TO aaa
IDENTIFIED BY bbb
USING 'ccc'
[출처] [Oracle] DB link 생성|작성자 juner84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DB 백업 (0) | 2012.05.17 |
---|---|
MySQL table 용량 확인 (0) | 2012.05.17 |
index 생성 (0) | 2012.05.17 |
Oracle Hint (0) | 2012.05.17 |
MySQL의 기본 설정 파일(my.cnf)의 위치 확인 (0) | 2011.11.29 |
index 생성
## 테이블 인덱스 생성
Create index [인덱스 명] on [테이블명]([컬럼명], ....)
## 테이블 인덱스 삭제
Drop index [인덱스 명]
## 인덱스 생성시 주의 사항
1. 인덱스를 만들 때
- where절이나 조인 조건에서 Column을 자주 사용할 때
- Column이 넓은 범위의 값을 가질때 (Column 범위가 넓을 때)
- 많은 Null 값을 갖는 Column일때
- 테이블 data가 많고 그 테이블에서 쿼리 되는 행의 수가 전체의 10~15%정도 일때
2. 인덱스를 만들지 않아야 할때
- 테이블이 작을때
- Column의 질의의 조건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별로 없을때
- 대부분의 질의가 행의 10~15% 이상을 검색한다고 예상될때
- 테이블이 자주 변경될 때
테이블 조회시 인덱스를 타게 하려면 where절 조건에 인덱스 순서로 조건을 걸어주면 좋다
[출처] [Oracle] 테이블 인덱스 생성|작성자 juner84
'개발 > 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ySQL table 용량 확인 (0) | 2012.05.17 |
---|---|
DB link 생성 (0) | 2012.05.17 |
Oracle Hint (0) | 2012.05.17 |
MySQL의 기본 설정 파일(my.cnf)의 위치 확인 (0) | 2011.11.29 |
mysql 소스 설치 (0) | 2011.11.29 |
[ubuntu]linux 명령어 - apt-get
## apt-get 명령어 정리
apt-get 명령어
apt-get(advanced Packaging Tool)은 우분투를 포함한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팩키지 관리 명령어 도구 임
#1. 패키지 인덱스 정보 파일(/etc/apt/sources.list)
apt-get 명령어를 사용할 떄 접속 정보를 가져오는 파일로 기존의 내용에서 수정하면 자신의 서버가 위치한 곳의 패키지 레파지토리를 읽어 올 수 있다. - 지역별로 다를 수 있음
#2. 설치된 패키지 업그레이드
apt-get upgrade
- 설치된 패키지를 모두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함
apt-get dist-upgrade
- 의존성 검사하며 설치하기
#3. 패키지 설치
apt-get install <패키지 명>
패키지 재 설치 (설치 중간에 문제 있을때 이 옵션으로 설치 마무리)
apt-get --reinstall install <패키지 명>
#4. 패키지 삭제
apt-get remove <패키지 명>
설정파일 까지 모두 삭제
apt-get --purge remove <패키지 명>
#5. 패키지 소스 다운로드
apt-get source <패키지 명>
받은 소스코드를 의존성 있게 빌드
apt-get build-dep <패키지 명>
apt-get -d install <패키지 명>
패키지(deb) 파일만 다운받기 인스톨은 안함
다운로드 위치 : /var/cache/apt/archive/
#6. 패키지 검색
apt-cache search <패키지 명>
패키지 정보보기
apt-cache show <패키지 명>
apt-get으로 설치된 deb패키지는 /var/cache/apt/archive/에 설치가 됨
[출처] [Linux] ubuntu apt-get 명령어 정리|작성자 juner84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ssh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기 (0) | 2013.04.25 |
---|---|
centos 5.3 svn 설치 (0) | 2012.06.01 |
linux 명령어 - df (volume 사용량 확인)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top (0) | 2012.05.17 |
linux USB mount, unmount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df (volume 사용량 확인)
리눅스에서 df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이 사용중인 볼륨 정보와 사용량을 보여주는 명령어임
# 사용법
# df [옵션]
난 개인적으로 df -h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.
아래는 맥북에서 df -h를 사용했을때의 화면
$ df -h
Filesystem Size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
/dev/disk0s2 465Gi 81Gi 384Gi 18% /
dfdevfs 177Ki 177Ki 0Bi 100% /dev
map -hosts 0Bi 0Bi 0Bi 100% /net
map auto_home 0Bi 0Bi 0Bi 100% /home
아래는 누가 df man 페이지를 번역해논것 퍼옴
SYNOPSIS
df [-aikPv] [-t fstype] [-x fstype] [--all] [--inodes] [--type=fstype]
[--exclude-type=fstype] [--kilobytes] [--portability] [--print-type]
[--help] [--version] [filename...]
DESCRIPTION
이 문서는 더이상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않다. 그래서, 몇몇틀릴 경우도
있고, 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. 완전한매뉴얼을 원하면, Texinfo 문
서를 참조하기 바란다.
이 매뉴얼 페이지는 df 명령의 GNU 버전에 대한 것이다. df 명령은 지정
한 filename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가능한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.
아무런 filename 인자가 없으면, 현재 시스템에서사용하는 모든 파일 시스템
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. 나타나는 숫자들의 기본 단위
는 1KB이다. 물론이 단위는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의 설정으로 512Byte
로 바꿀 수 있다.
만일 filename 인자로 디스크 장치 이름이 절대 경 로 형 식 으 로 ( 예,
/dev/hda1) 주어지면, 그 해당 디스크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을보여준다.
이 버전에서는 마운트(mount(8))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는그 공 간
정 보를 보여지 못한다. 이런 이유는 각각의 파일 시스템 구조에대한 정보들
을 확실하게 알아야하는데,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이런 정보들을 알기
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
OPTIONS
-a, --all
파 일 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. 초기값은 제외 시킨
다. 이런 파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자동 마운트관련, 특별 구 성,
pseudo-filesystems 이 다. 어 떤 시스템에서는 ‘‘ignore’’, 또는
‘‘auto’’ 형태의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 다.
이때 이옵션을 사용한다.
-i, --inodes
블럭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. inode란 특별한
종류의 디스크 블럭인데, 이것은 파일이름, 소유주, 권한, 시간 정
보, 디스크에서의 위치등에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.
-k, --kilobytes
보여주는 숫자들의 단위를 512 바이트 블럭 단위 대신 1KB 단위로 보
여준다. 이 옵션은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를 무시한다.
-P, --portability
POSIX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보여준다. 이 옵션은 한 줄에 하나의 파
일 시스템 정보만 보여주다는 것을 제외하고는기본 출력 양식과 같
다. 한 마운트 장치는 그 줄에 포함되지 않는다. 이 말은 만약 마운
트 장치 이름이 20 문자 이상이면,(원격 마운트파일 시스템일 경우는
그렇다) 줄이 나뉘어 지는데, 이런 경우는 생략되거나축약된다.
-T, --print-type
각 파일시스템의 형태를 보여준다. 특정 파일시스템의 정보만을 원
할 경우에는 --type= 또는 --exclude-type= 옵션을 사용한다.
-t, --type=fstype
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보여준다. 초기값은 모든 파일 시스
템을 보여준다.
-x, --exclude-type=fstype
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빼고 나머지 모든 파일 시스템 정 보
를 보여준다.
-v 무시: System V 용 df와 호환을 위해서 있는 옵션.
사용법: df [OPTION]... [FILE]...
각각의 FILE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.
기본값은 모든 파일시스템입니다.
-a, --all include filesystems having 0 blocks
-a, --all 0블럭을 가진 파일시스템도 출력에 포함합니다
--block-size=SIZE use SIZE-byte blocks
--block-size=SIZE SIZE 바이트 크기의 블럭을 사용합니다
-h, --human-readable print sizes in human readable format (e.g., 1K 234M 2G)
-h, --human-readable 크기를 사람이 알기 쉽게(1K, 234M, 2G등)표시합니다
-H, --si likewise, but use powers of 1000 not 1024
-H, --si 비슷합니다만 1024배 대신 1000배를 사용합니다
-l, --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
-i, --inodes 블럭 사용 대신 inode정보를 표시합니다
-k, --kilobytes like --block-size=1024
-k, --kilobytes --block-size=1024와 같습니다
-l, --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
-l, --local 지역 파일시스템만 나열합니다
-m, --megabytes like --block-size=1048576
-m, --megabytes --block-size=1048576과 같습니다
--no-sync do not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(default)
--no-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르지 않습니다(기본값)
-P, --portability use the POSIX output format
-P, --portability POSIX사양으로 출력합니다
--sync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
--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릅니다
-t, --type=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of type TYPE
-t, --type=TYPE TYPE형태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만 표시합니다
-T, --print-type print filesystem type
-T, --print-type 파일시스템 형태를 출력합니다
-x, --exclude-type=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not of type TYPE
-x, --exclude-type=TYPE TYPE형태가 아닌 파일시스템 정보만 표시합니다
-v (ignored)
-v (무시합니다)
--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
--help 이 도움말을 표시하고 종료합니다
--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
--version 버전 정보를 표시하고 종료합니다
[출처] [linux]df 사용법, linux volume 사용량 확인|작성자 juner84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entos 5.3 svn 설치 (0) | 2012.06.01 |
---|---|
[ubuntu]linux 명령어 - apt-get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top (0) | 2012.05.17 |
linux USB mount, unmount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du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top
Linux 시스템을 사용하다가 시스템 사용량을 보기위해 우리는 top를 이용한다
top 명령어 사용시 유용한 옵션정리
[사용법]
$ top [옵션]
나의 경우는 옵션을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
보통 top 화면으로 들어가서 사용량을 확인함
[화면 내용들]
top - 15:55:22 up 98 days, 14:29, 1 user, load average: 0.05, 0.04, 0.00
Tasks: 141 total, 1 running, 140 sleeping, 0 stopped, 0 zombie
Cpu(s): 0.2%us, 0.1%sy, 0.0%ni, 99.3%id, 0.4%wa, 0.0%hi, 0.0%si, 0.0%st
Mem: 4031448k total, 3306440k used, 725008k free, 263928k buffers
Swap: 8193140k total, 2900k used, 8190240k free, 1588424k cached
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%CPU %MEM TIME+ COMMAND
각 라인별 내용
top - 15:55:22 up 98 days, 14:29, 1 user, load average: 0.05, 0.04, 0.00
현재 시간, uptime (서버 uptime), 현재 로그인 유저수 , 로드 에버리지 1분 5분 15분
로드 에버리지(load average)란?
- 작업의 대기시간 , 값이 1이라면 1분동안 평균 1개의 프로세스가 대기상태임을 나타낸다.
보통 5이면 서버가 부하를 받는다고 생각함, 10~15면 과부하
Tasks: 141 total, 1 running, 140 sleeping, 0 stopped, 0 zombie
전체 프로세스 수,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, 유휴상태 프로세스, 정지상태 프로세스, 좀비 프로세스
Cpu(s): 0.2%us, 0.1%sy, 0.0%ni, 99.3%id, 0.4%wa, 0.0%hi, 0.0%si, 0.0%st
사용자가 사용중인 CPU 사용률(us), 시스템이 사용하는 CPU 사용률(sy), NICE 정책에 의해 사용되는 CPU 사용률(ni), 사용되지 않은 CPU의 미사용률(id), 입출력 대기상태의 사용률(wa)
Mem: 4031448k total, 3306440k used, 725008k free, 263928k buffers
전체 물리적인 메모리, 사용중인 메모리(used), 사용되지 않는 여유 메모리(free), 버퍼된 메모리(buffers)
Swap: 8193140k total, 2900k used, 8190240k free, 1588424k cached
전체 스왑 메모리, 사용중인 스왑 메모리, 남아있는 스왑메모리, 캐싱메모리
세부정보 필드명
PID USER PR NI VIRT RES SHR S %CPU %MEM TIME+ COMMAND
* PID : 프로세스 ID (PID)
* USER :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사용자 ID
* PRI :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(priority)
* NI : NICE 값. 일의 nice value값이다. 마이너스를 가지는 nice value는 우선순위가 높음.
* VIRT : 가상 메모리의 사용량(SWAP+RES)
* RES : 현재 페이지가 상주하고 있는 크기(Resident Size)
* SHR : 분할된 페이지, 프로세스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를 나눈 메모리의 총합.
* S : 프로세스의 상태 [ S(sleeping), R(running), W(swapped out process), Z(zombies) ]
* %CPU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CPU의 사용율
* %MEM :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사용율
* COMMAND : 실행된 명령어
[명령 실행 후 사용하는 옵션들]
1 : cpu 갯수별 사용량 보기
shift + m : 메모리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령
shift + p : CPU 사용량이 큰 순서로 정렬
shift + t : 실행시간이 큰 순서로 정렬
k : 프로세스 kill - k 입력 후 종료할 PID 입력 signal을 입력하라고 하면 kill signal인 9를 입력
c : 명령인자 표시/비표시
space bar : refresh
u : 입력한 유저의 프로세스만 표시 - which user 가 나오면 유저를 입력, 아무것도 안너으면 전체 표시
shift + b : 상단 정보를 블럭표시상태로 보여줌
[출처] [Linux] top 명령어 사용법|작성자 juner84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buntu]linux 명령어 - apt-get (0) | 2012.05.17 |
---|---|
linux 명령어 - df (volume 사용량 확인) (0) | 2012.05.17 |
linux USB mount, unmount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du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find (0) | 2012.05.17 |
linux USB mount, unmount
USB Flash Disk의 기본 파일 시스템은 보통 vfat을 사용한다
USB는 커널에 의해서 SCSI 장치를 이용해서 접근함
대부분 /dev/sd* 를 사용함 예) /dev/sda1
#1. 마운트를 위해 마운트 포인트를 생성해 줌
mkdir /mnt/usb
#2. USB가 사용중인 장치 정보를 확인
fdisk -l
[root@redhatws9 down]# fdisk -l
Disk /dev/sda: 256 MB, 256900608 bytes
16 heads, 32 sectors/track, 979 cylinders
Units = cylinders of 512 * 512 = 262144 bytes
Device Boot Start End Blocks Id System
/dev/sda1 1 979 250574+ 6 FAT16
#3. 마운트 함
mount -t vfat /dev/sda1 /mnt/usb
마운트 완료
사용을 다 하면 umount를 해줘야 함
umount /mnt/usb
※ 가끔 한글이 깨질경우 존재함 그럴때는
mount -t vfat -o iocharset=utf8 /dev/sda1 /mnt/usb
또는
mount -t vfat -o iocharset=cp949 /dev/sda1 /mnt/usb
'개발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명령어 - df (volume 사용량 확인) (0) | 2012.05.17 |
---|---|
linux 명령어 - top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du (0) | 2012.05.17 |
linux 명령어 - find (0) | 2012.05.17 |
디렉터리 구성 (0) | 2012.05.17 |